반응형

프로그래밍 176

[자바JAVA] 객체 지향 언어(OOP) & DTO 작성 방법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현실 세계의 모든 사건을 객체와 객체의 상호작용에 의해 일어난다는 세계관을 프로그램을 만들 때 이용하여 새로운 세계를 창조하는 방법론이다. 추상화 공통된 부분을 추출, 공통되지 않은 부분은 제거 유연성 확보하여 재사용성을 높임 오류 발생 가능성 감소, 유지보수성을 증가시킴 DT0 (Data Transfer Object) 매번추상화를 하지 않아도 되는 객체 행위가 아닌 데이터를 하나로 뭉치기 위한 객체(Data Transfer Object) 캡슐화의 원칙 준수하여 모든 필드를 private 직접 접근을 막고 각 필드 값을 변경하거나 반환하는 메소드를 세트로 작성 private 필드와 필드값을 수정하는 생정자(setter), 필드에 접근하는 접근자(getter)들로 구성함. 데이터를 주..

[자바JAVA] 클래스(class)_객체 생성, 전역변수, 접근제한자, this.

클래스 서로 다른 자료형의 데이터들을 사용자(개발자) 정의로 하나로 묶어 새로운 타입을 정의 클래스 내부에 메소드를 작성하지 않고 바로 변수 선언이 가능 - > 전역변수(=필드=인스턴스변수=속성) 객체 생성 방법 : 클래스명 레퍼런스명 = new 클래스명(); 다른 곳에서 클래스의 필드에 접근하기 위해 ' . ' (참조연산자)을 활용 레퍼런스명. 필드명 으로 필드에 접근(배열은 인덱스로 접근, 객체는 필드명으로 접근) (1) Member class에 필드 작성하기 public class Member { String id; String pwd; String name; int age; char gender; String[] hobby; } (2) new 연산자로 객체 생성하기 Member member = n..

[자바JAVA] 배열의 정렬(오름차순으로 정렬하기, 중복 값 제거하기)

배열의 정렬 선택 정렬 : 배열을 전부 탐색하여 최소값을 고르고 왼쪽부터 채워나가는 방식 버블 정렬 : 인접한 두 개의 원소를 검사하여 정렬하는 방법 사입 정렬 : 인접한 두 개의 원소를 검사하여 정렬하는 방법 변수는 하나의 값만 저장 가능하므로 값을 대입하면 이전의 값은 소면된다. 때문에 임시변수를 하나 생성하여 기존의 값을 따로 보관하고 대입 작업을 통해 값을 서로 변경해야 한다. arr배열의 값을 132로 변경해보자 int[] arr = {2, 1, 3}; int temp1; temp2 = arr[0]; => 새로운 변수안에 arr 인덱스 0번 값을 저장한. arr[0] = arr[1]; =>arr인덱스 0번 값은 비워져 있으므로 값을 변경할 수 있다. arr[1] = arr[2]; arr[2] =..

[자바JAVA] 다차원 배열 (2차원 배열) & 얇은복사와 깊은복사

2차원 배열 자료형이 같은 1차원 배열들의 묶음 2차원 배열은 할당 된 공간 마다 인덱스 번호 두개 부여 (앞 번호는 행, 뒷 번호는 열) 2차원 배열 선언과 할당 배열 선언 배열 할당 배열의 선언과 할당 자료형[][] 배열명; 자료형 배열명[][]; 자료형[]배열명[]; 자료형[][]배열명 = new 자료형[행크기][열크기] 자료형[][] 배열명 = new 자료형[행크기][열크기] 자료형 배열명[][]; = new 자료형[행크기][열크기] 자료형[]배열명[]; = new 자료형[행크기][열크기] 2차원 배열의 저장구조 2차원 배열의 사용 방법 1 . 배열의 주소를 보관할 레퍼런스 변수 선언(stack) int[][] iarr1; int iarr2[][]; int[] iarr3[]; 2. 여러 개의 1차..

[자바JAVA] 배열(Array)_ 1차원 배열

배열 같은 자료형의 변수들을 하나의 묶음으로 다루는 것 배열은 저장된 값마다 인덱스 번호가 부여됨(0부터 시작) 1 . 배열의 사용 이유 배열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연속 된 메모리 공간으로 관리할 수 없고, 반복문을 이용한 연속적인 처리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배열을 사용한다. 2 . 배열의 선언과 할당 배열 선언 배열 할당 배열 선언과 할당 자료형[] 배열명; 자료형 배열명 []; 배열명 = new 자료형[배열크기]; 자료형[] 배열명 = new 자료형[배열크기]; 자료형 배열명[] = new 자료형[배열크기]; 3. 배열 저장구조 자료형[] 배열명; stack에 배열의 주소를 보관할 수 있는 공간 new 자료형[배열크기]; heap 영역에 공간을 할당하고 발생한 주소값을 반환하는 연산자 발생한 주소를 레퍼..

[자바JAVA] 제어문 _ 조건문(if문과 switch문)

조건문 프로그램 수행 흐름을 바꾸는 역할을 하는 제어문 중 하나로 조건에 따라 다른 문장이 수행되도록 함. 조건문의 종류 : IF문, SWITCH문 i f 문 if(조건식){ } : 조건식의 결과 값이 true면 {}안의 내용 실행, false면 실행하지 않음 if(num > 0){ System.out.println("양수입니다."); } System.out.println("시스템을 종료합니다."); 조건식의 결과 값이 true면 "양수입니다" 실행 false면 if블럭을 무시하고 "시스템을 종료합니다." 실행 if 문 예제 정수 한 개를 입력 받아 그 수가 짝수이면 "입력하신 숫자는 짝수입니다." 라고 출력하고, 짝수가 아니면 출력하지 않는 구문을 작성해보자! Scanner sc = new Scanne..

[자바JAVA] API (절대값, 최소값, 최대값, 원주율, 난수, nextInt 활용)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는 응용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운영체제나 프로그래밍 언어가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만든 인터페이스를 뜻한다. 쉽게 말해 우리가 구현할 수 없거나 구현하기 번거로운 기능들을 JDK를 설치하면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해놓은 소스코드들을 의미한다. java.lang.Math Math 클래스는 수학에서 자주 사용하는 상수들과 메소드들을 미리 구현해놓은 클래스이다. java.lang.Math에서 제공하는 것을 활용하여 수학적인 연산을 쉽게 할 수 있다. ● 절대값 System.out.println("-7의 절대값 : " + (java.lang.Math.abs(-7))); ● 최대값, 최소값 System.out.printl..

[자바JAVA] 패키지 (package) & 임포트 (import)

패키지 (package) 서로 관련 있는 클래스 또는 인터페이스 등을 모아 하나의 묶음(그룹)으로 단위를 구성하는 것을 말한다. 클래스명은 원래 패키지명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같은 패키지 내에서는 동일한 이름의 클래스를 만들 수 없지만, 패키지가 다르면 동일한 이름의 클래스를 만들 수 있다. 서로 다른 패키지에 존재하는 클래스를 사용하는 경우 클래스명 앞에 패키지명을 명시해야 한다. - com.greedy.section01.method패키지의 Calculator 클래스 - package com.greedy.section01.method; public class Calculator { public int minNumberOf(int first, int second) { return first > seco..

[자바JAVA] 메소드 (method)_ retrurn, static 메소드 호출

retrurn 해당 메소드를 종료하고 자신을 호출 한 메소드로 돌아가는 예약어. 반환 값(리턴 값)을 가지고 자신을 호출 한 메소드로 돌아갈 수 있음 return은 가장 마지막에 작성해야 하고, 마지막에 작성되지 않을 경우 컴파일 에러를 발생시킴. void 메소드의 경우 return;을 명시작으로 작성하지 않아도 컴파일러가 자동으로 추가 해줌. ● public 뒤에 바로 return으로 가지고 갈 타입을 명시한다. ● 아무 값도 리턴하지 않을 경우에는 void, 값을 반환하는 경우에는 반환 값의 자료형으로 작성한다. public String testMethod(){ return 리턴값 ; } 매개변수와 리턴 값 복합 활용 매개변수도 존재하고 리턴값도 존재하는 메소드를 이용하여 간단한 계산기를 만들어 보자..

[자바JAVA] 메소드(method) _ 전달인자와 매개변수를 이용한 호출

메소드(method)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문의 집합 메소드는 다른 메소드를 호출 가능(메소드를 호출한 곳으로 돌아옴) public class Application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main()시작됨"); ● 객체 생성 : 클래스명 사용할이름 = new 클래스명(); ● 메소드 호출 : 사용할 이름. 메소드명(); Applicaiton1 app1 = new Application1(); app.methodA(); System.out.println("main() 종료됨"); } public void methodA(){ System.out.println("mathodA() 호출함") ; } } ● 실행 결..

반응형